북한의 암담한 현실을 풍자하는 우스갯말들이 끊임없이 생성되는 가운데 최근 김정은과 노동당 간부들을 빗대어 조롱하는
우스갯말들이 새롭게 유행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다.
“물, 불, 쌀, ‘ㄹ’자 받침이 들어간 건 다 말썽이다, ‘3부’가 돼야 잘 살 수 있다”
북한에서 오랜 기간 유행하던 우스갯말들이다.
이 유행어들은 물과 땔감, 식량 걱정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들의 고단한
삶을 풍자한 이야기들이다.
‘3부’라는 말은 간부, 과부, 어부를 가리키는 말로 그 속엔 부패한 관료들의 부정행위와
생활고에 시달리는 여성들의 매음행위, 어부들이 목숨을 걸고 불법어로를 해야만 돈을 벌 수 있는 출구라는
의미가 담겨 있다.
하지만 이런 말도 이젠 구식으로 밀려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.
대신 김정은 정권과 간부들을 비난하는 새로운 우스갯말들이 만들어져 크게 유행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다.
얼마 전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의 소식통은 “최근 들어 ‘간부가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자질’이라는 유모어가 새롭게 유행되고
있다”며 “이 사회에서 간부들이 살아남는 방법을 간략하게
정리한 말”이라고 그 내용을 설명했다.
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함경북도뿐만 아니라 평양시를 비롯해 많은 주민들과 대학생들 속에서 “‘지도원’이 돼야 살 수 있다,
‘지배인’이 되면 살기 어렵다”는 우스갯말이
유행하고 있다.
‘지도원’은 ‘지’위가
있어도 ‘도’둑질을 잘 해야 돈(원)을 벌수 있다는 뜻으로 양심적으로는 목숨을 부지할 수 없는 북한
간부계의 현실을 비판하는 말이라고 그는 전했다. 그런가하면 ‘지배인’은 ‘지’위가 있고 ‘배’운 것이 있어도 ‘인’정에 사로잡히면 간부자리를 지켜낼 수 없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.
이와 관련 또 다른 함경북도의 소식통도 “‘마식령속도’가 창조된다는 ‘마식령’은
바라만 봐도 탄식이 절로 난다는 의미에서 ‘탄식령’으로 바꿔
부르고 있다”며 “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곳을 뜻하는 ‘공동변소’를 ‘간부사택’이란 은어로 부르고 있다”고 말했다.
한편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“젊은이들 속에서 김정은이 흔히 ‘왕두령’이라는 별칭으로 통하고 있다”며 “‘왕두령’은 ‘조선의 별’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앞뒤를 분별하지 못하고 무지막지한
행위만 일삼는 마적단 두령의 이름”이라고 얘기했다.
또 “김정은을 ‘장군님’이라 부르지 않고 그 아내의 이름을 따 ‘설주남편’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많다”며 “이런
우스갯말들을 다 알게 되면 이곳(북한)의 민심이 어떤지 읽을
수 있을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